서울에서 아이를 낳았다고 왜 떠나야 하나요? 이제는 다릅니다. 최대 720만원 주거비 지원, 서울에 계속 살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.
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를 위해 주거비를 지원하는 제도를 시작합니다. 이 글에서 지원 자격부터 신청 방법까지 모두 알려드립니다.
주거비 지원금 신청은 아래 버튼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. 출산 후 1년이 지나면 받지 못하니 빨리 신청하세요.
서울시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지원
서울시는 자녀를 출산한 무주택 가구에 최대 2년간 총 720만원의 주거비를 지원하는
사업을 시작합니다.
이로 인해 수도권으로 떠나던 젊은 가족들이 서울에
머무를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.
신청 방법과 일정
2025년 6월 30일까지 출산한 가구는 5월 20일부터 서울시 '몽땅정보만능키' 누리집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심사와 서류 검토 후 12월에 첫 지원금이 지급됩니다.
항목 | 내용 |
---|---|
지원 대상 | 2025.1.1 이후 출산한 무주택 가구 (중위소득 180% 이하) |
거주 조건 | 전세 3억 이하 / 월세 130만원 이하 |
지원 금액 | 월 최대 30만원, 최대 2년간 720만원 |
신청 방법 | 몽땅정보만능키 누리집 통해 온라인 신청 |
지원 방식 | 6개월 단위로 4회 지급 (증빙 필수) |
지원 대상과 조건
2025년 1월 1일 이후 자녀를 출산한 무주택 가구 중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가
대상입니다.
전세 3억원 이하, 월세 130만원 이하의 임차 주택에 거주해야
하며, 공공임대(SH/LH)는 제외됩니다.
지원 방식과 금액
지원은 월 최대 30만원, 총 2년간 최대 720만원입니다.
6개월 단위로 4회 분할
지급되며, 전세 대출 이자 또는 월세 납부 내역 증빙이 필요합니다.
다태아 출산 또는 추가 출산 시 지원 기간이 최대 4년까지 연장될 수 있습니다.
청약
당첨 시에도 입주 전까지는 무주택으로 간주하여 지원이 유지됩니다.
Q&A
Q1. SH나 LH 임대주택도 신청 가능한가요?
A1. 아닙니다.
공공임대주택 거주자는 이번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Q2. 청약 당첨되면 지원 중단되나요?
A2. 입주 전까지는
무주택으로 간주되어 지원을 계속 받을 수 있습니다.
Q3. 월세가 130만원보다 높으면 신청이 불가능한가요?
A3.
네, 월세 130만원 이하 조건을 충족해야 신청 가능합니다.
Q4. 신청은 언제부터 가능한가요?
A4. 5월 20일부터 서울시
공식 누리집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Q5. 반드시 증빙서류가 필요한가요?
A5. 네, 월세
영수증이나 전세 이자 납부 내역 등 증빙서류 제출이 필수입니다.
고물가와 높은 집값 때문에 많은 신혼부부들이 서울을 떠나고 있는 상황입니다.
하지만 이번 서울시의 주거비 지원 정책은 그런 현실을 바꿀 수 있는
실질적인 대안입니다.
앞으로 서울시에서 출산을 하면 주거비에 대한 부담을
약간을 줄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.
지금 바로 정책 내용을 확인하고 신청 준비를 시작해 보세요. 아이와 함께 서울에서의 새로운 시작을 응원합니다!